본문 바로가기
재배학 정리/2. 작물의 유전성

[재배학] 형질 / 변이

by charlie-lyc 2021. 3. 23.
728x90
반응형

형질

1. 기본 개념

   - 생물의 특성이 되는 형태적, 생태적, 생리적 우수한 특징

   - 육종 : 형질개량하여 신품종육성하는 것

 

   ※ 형질유전자에 의해 지배되고, 유전자는 염색체상에 있으며, 그 근원물질은 DNA 

      - 결국, 육종유전자와 염색체 및 DNA조작하고,

      - 목표 형질에 대한 유전변이작성하여,

      - 희망 유전자형선발하는 기술

 

2. **질적 형질

   - (계량, 계측 없이) 확실히 구별할 수 있는 형질 : 예) 색깔

   - 분리 세대에서 불연속 변이하는 형질

   - 형질의 특성이 몇 가지 종류 뚜렷하게 구별

   - 비교적 표현력이 큰 소수의 주동유전자에 의해 지배

   - '멘델식 유전' => 형질 개량 : '계통육종법' 유리

 

3. **양적 형질

   - 계량, 계측할 수 있는 형질 : 예) 초장, 간장, 수량

   - 개체 간의 변화가 연속적인 변이

   - 형질의 특성이 여러가지 등급으로 나뉨

   - 표현력이 작은 미동유전자에 의해 지배

   - 환경변화에 의해 형질이(표현정도가) 크게(쉽게) 변함

   - '세포질 유전' => 형질 개량 : '집단육종법' 유리

   - 일반적으로 *농업상 중요한 형질

 

   ※ 폴리진(Polygene) : 양적 형질에서 연속 변이원인이 되는 유전자

      ① 1949년 Mather가 처음으로 사용

      ② 많은 유전자포함하고, 환경의 영향크게 받음 => 양적형질연속변이 설명하는 데 유용 

      ③ 핵 내 유전자멘델의 유전 법칙적용됨 => 유전 분석통계적 방법(평균, 분산)을 이용

 


반응형

 

변이

1. 기본 개념

   - 생물계에서 개체들 사이의 형질 차이가 보이는 현상

   - 형질의 유전, 유전 변이의 발생 : 생식 방법에 따라 달라짐

   - 변이의 주요 원인 : 유전적 원인, 환경적 원인

 

2. 변이 종류 : 구분 기준에 따라

   ① 대상 형질의 종류

      - 형태적 변이 : 키(장, 단)

      - 생리적 변이 : 내병성(강, 약)

   ② 변이의 양상

      - 연속 변이 : 키[장 ~ 단 이외 여러 등급] = 양적 변이 

      - 불연속(대립) 변이 : 색깔[붉은색, 흰색] = 질적 변이

   ③ 변이의 성질

      - 대립 변이

      - 방황(정향, 양적) 변이

   ④ 변이의 원인

      - 장소(소재) 변이

      - 돌연 변이

      - 교잡 변이

   ⑤ 변이가 나타나는 범위

      - 일반 변이

      - 개체 변이

   ⑥ *유전성의 유무

      - *유전 변이 : 돌연 변이, 교잡 변이, 유전자적 변이(불연속, 질적, 대립, 일반)

      - 환경 변이 : 장소 변이, 유도 변이, 일시적 변이(연속, 양적, 방황, 개체)

 

3. 변이 식별

   ① 후대 검정

      - 변이를 나타낸 개체들의 종자를 심어 후대의 형질을 관찰, 측정하여 변이의 유전성 여부를 판단

      - 여러 세대에 걸쳐 계속 검정하거나, 1 세대에 그칠 경우도 있음

      

   ② 특성 검정

      - 해당 형질이 발현되는 데 적합한 환경, 즉 이상환경 조건에서 발현되는 변이로 검정

      - 내습병, 내병성, 내비성 등을 검정

   

   ③ 변이의 상관

      - 식별하기 힘든 변이가 식별하기 쉬운 변이와 높은 상관이 있을 때,

      - 식별하기 쉬운 변이를 측정하여 식별하기 힘든 변이를 판단

      - : 단백질 함량비중정비례 관계

      - 표현형 상관, 유전적 상관, 환경적 상관

 

   ④ 변이의 생성유도

      - 교잡변이, 돌연변이 : 자연적으로 생성, 초기 육종에 이용

      - 환경변이 : 근래 재배 수단에 의해 인위적으로 변이를 유기하여 육종 효율을 높임

      - 자연 돌연변이 발생 빈도 : 1 / 1천만 ~ 1 / 1백만, 매우 낮음  

      - 인공교배, 인위 돌연변이, 염색체 조작 : 같은 종 내에서 유전변이 작성 방법

      - 세포 융합 : 인공교배가 안 되는 원연관계종 및 속유전자 교환 방법

      - 유전자 전환 : 생물종에 관계없이 원하는 유전자 도입할 수 있는 방법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