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 정리/2. 작물의 유전성

[재배학] 품종 육성 역사

by charlie-lyc 2021. 3. 22.
728x90
반응형

품종 육성 역사

1. 초기

  • 자연 돌연변이자연 교잡으로 생긴 변이 개체 중에서 우량한 것을 선발 => ① 분리 육종

2. 1865년

  • Mendel 유전법칙 발견 : 유전학기초 확립 => 육종기술육종학 발전의 토대

3. 1900년

  • Mendel 유전법칙 재발견, 유전학세포유전학급속 진전 => ② 교잡 육종

3. 1903년

  • Johanssen 유전적 요인에 의한 변이만이 선발의 대상이 됨 => 순계설

4. 1937년

  • 콜히친(Colchicine) 발견 : 염색체 수를 배가 => ③ 배수성 육종  

5. 1970년대

  • 조직배양, 세포융합, 유전자조작 =>생명공학 육

6. 1972년

  • Muller x-선으로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 ⑤ 돌연변이 육종

 


반응형

 

우리나라 작물의 육종

1. 농촌진흥청

  • 벼, 보리, 콩 등 주요 작물
  • 과수, 화훼
  • 채소류 특수작형에 적합한 품종

2. 종묘회사

  • 배추, 무, 고추 : 상업성이 높은 작물

3. 지역 특화작목 시험장

  • 마늘, 딸기, 토마토, 버섯, 감, 약초, 국화, 백합

4. 농림축산식품부 「종자심의회」

  • 장려품종의 결정, 명명, 개폐 의결

5. 육종 연한

  • 1년생 작물(벼, 밀) : 최소 6년
  • 다년생 작물(과수, 임목) : 20년 이상

 

※ 작물의 품종육성 3단계

1. 제 1단계

  • 재래품종에서 우수한 개체 선발 => 우량품종 육성

2. 제 2단계

  • 재래품종우량 형질 조합 => 신품종 육성

3. 제 3단계

  • 유전적으로 거리가 먼 원연품종 또는 다른 종으로 부터 유용유전자 도입 => 신품종 육성

 

통일벼 품종 육성 의의

  • 품종육성의 3단계 중에서 제3단계(원연품종으로 부터 유용유전자 도입)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우량 품종
  • 1972년 육성 : 벼의 '원연교배종'
  • 녹색혁명을 주도

      ① 식량 증산

      ② 주곡 자급

      ③  농자재, 농기계, 농약, 비료국가산업 발전공헌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