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재배학 정리/1. 서론11

[재배학] 우리나라 재배 현황(2/2) 우리나라 농업기계 보급 보급 농기계 수 : 2004년 기준(만 대) 1.경운기(83.3) - 2.*동력방제기(60) - 3.관리기(38.3) - 4.이앙기(33.4) - 5. 트랙터(22) - 6.콤바인(8.8) - 7.*곡물건조기(6.4) - 8.바인더(6.2) 농기계의 급격한 보급이 이루어짐 대형 농기계로 대체되는 중 - 경운기 => 트랙터 - 바인더 => 콤바인 농기계 보급 현황 : (농가수 / 1대당) 1.경운기(2) - 2.이앙기(7.5) - 3.관리기(10) - 4. *수확기(12) - 5. 트랙터(21) - 6.파종기(158) - 7.곡물건조기(가장 미흡) - 선별기 선진국 보급 현황에 미치지 못함 기계화의 저해 요인 - 경지 규모 영세 - 농기계 이용 효율이 낮음 - 구매력이 낮음 - 농기.. 2021. 3. 18.
[재배학] 우리나라 재배 현황(1/2) 우리나라 토지이용 현황 2004년 기준(%) 1. 임야(64.5) - 2.논(11.2) - 3.밭(7.2) - 나머지 기타(17.3) 논, 밭 합쳐서 농경지 전체 면적 : 18.4% (감소 추세) 경지이용율(총경작면적/농경지면적전체*100) : 105.2% (낮음) 논 : 약 111만 ha, 밭 : 약 72만 ha 1980년대와 비교 - 농경지 전체 면적 : 감소 2021. 3. 17.
[재배학] 3대 식량작물 / 주요작물 생산현황 / 농업인구 비율 세계 3대 식량작물 생산량 순서 : 옥수수 > 벼 > 밀 재배면적 순서 : 밀 > 벼 > 옥수수 단위면적당 생산량 순서 : 옥수수 > 벼 > 밀 세계 이동량 : 밀 > 옥수수 > 벼 4대 식량작물 : 3대 식량작물 + 보리 5대 식량 작물 : 4대 식량작물 + 수수 세계 농업인구 비율 세계 전체 경제활동인구 중 농업인구 비율 : 43.9% 선진국 : 평균 2 ~ 4% 1.영국(1.7%) - 2.미국(2.0%) - 3.캐나다(2.2%) - 4.독일(2.3%) - 5.프랑스(3.0%) - 6.일본(3.6%) 아시아 국가 : 평균 40 ~ 60% 1.필리핀(38.3%) - 2.인도네시아(47%) - 3.태국(54.9%) - 4.인도(58.7%) - 5.중국(65.5%) - 6.베트남(66.5%) 우리나라 : .. 2021. 3. 14.
[재배학] 작물의 분류 「용도」에 의한 (일반적) 분류 종류가 많은 순서 : 1.식용(보통) - 2.약용 - 3.사료 - 4.공예(특용) - [조미료] - 5.녹비(비료) - 6.기호 1. 식용작물 : 보통작물 [888종] ① 곡숙류 [1] 화곡류 - 미곡 : 수도, 육도 - 맥류 : 보리, 밀, 귀리, 호밀, 라이밀 - 잡곡 : 조, 옥수수, 수수, 기장, 피, 메밀, 율무 [2] 두류 : 콩, 팥, 녹두, 강낭콩, 완두, 땅콩 ② 서류 : 감자, 고구마 2. 약용작물 : 인삼, 제충국, 박하, 호프 [342종] 3. 사료작물 [327종] 화본과 : 옥수수, 귀리, 티머시, 오처드그래스, 라이그래스 콩과 : 알팔파, 화이트클로버, 레드클로버, 자운영, 벳치류, 버즈풋트레포일(Birds foot trefoil) 기타과 : 순무.. 2021. 3. 11.
[재배학] 작물의 종류 / 작물의 구분 / 주요작물의 이명법 표기 작물의 종류 전 세계 재배 작물의 총수 : 약 2,500 ~ 3,000종 식용 작물 : 888종 식량 작물 : 169종 1. 화곡류 : 54종 2. 두류 : 52종 3. 서류 : 42종 4. 기타 곡류 : 13종 5. 기타 : 8종 벼, 밀, 옥수수 : 3대 작물 - 전 인류 곡물소비량의 75% 작물의 구분 식물의 종류는 Linne가 설정한 이명법으로 구분 속명 + 종명 + 명명자명 생물학적 분류 순서 : 계 - 문 - 강 - 목 - 과 - 속 - 종 - 품종 주요작물의 이명법 표기 벼(Rice) : Oryza sativa 보리(Barley) : Hordeum vulgare 밀(Wheat) : Triticum vulgare 옥수수(Corn) : Zea mays 콩(Soybean) : Glycine max.. 2021. 3. 11.
[재배학] 농서 저술 / 작물의 발달 방향 우리나라 농서 저술 1. 최초의 농서 : '농상집요' 고려 후기 : 이 암 원나라 농법 소개서 2. 최초의 독자적 농서 : '농사직설' 조선 초기 : 정 초 3. 최초 농업 백과사전 : '임원경제지' 조선 후기 : 서유구 야생식물의 작물화 발달 방향 1. 수확 즉시 저장하고 파종시 일시에 발아 => 강한 휴면성 필요하지 않음 2. 출아 후 독립영양시기까지 강한 활력과 생장 에너지가 필요 => 대립 종자로 발달 3. 종자의 탄수화물함량 증가 : 단백질 함량은 낮아짐 4. 분얼, 분지가 일정기간 내에 일시에 발생 => 수확시 일시에 성숙 5. 개화, 출수 시기 일시에 집중 6. 탈립성 작아짐 7. 수량 많아짐 8. 타가수정에서 자가수정으로 발달 2021. 3. 11.
[재배학] 분화 및 진화 / 유연 관계 / 원산지(기원중심지) 분화 및 진화 작물의 분화 : 원래의 것과 다른 여러 갈래로 갈라짐 작물의 진화 : 분화의 결과 더욱 높은 단계로 발달함 작물 분화의 순서 : 유전적 변이 - 도태 - [멸종] - 적응 - [순화] - 고립(격리) 1. 유전적 변이(Heritable variation) - 자연교잡, 돌연변이 : 새로운 유전형 발생 2. 도태(Selection)와 적응(Adaptation) - 새로운 유전형이 환경이나 생존 경쟁에 견디지 못하고 멸종 : 도태 - 새로운 유전형이 환경이나 생존 경쟁에 견디어 내는 것 : 적응 - 새로운 유전형이 특정 조건에서 오래 생육하여 잘 적응하는 것 : 순화 - 적응, 순화의 결과 => 적응형 발생 => "분화" 3. 고립(Isolation, 격리) : 적응형들의 유전적 안전상태를 유.. 2021. 3.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