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 정리/2. 작물의 유전성

[재배학] 품종의 특성

by charlie-lyc 2021. 3. 20.
728x90
반응형

품종의 재배적 특성

  • 품종특성 : 품종에 속하는 개체들이 지닌 모든 형태적, 생리적, 생태적 형질
  • 품종재배적 특성 : 품종의 특성 중에서 특히, 재배 이용상의 가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특성

1. (또는 '간장')

   - 장간종, 단간종

   - 장간종은 도복되기 쉬움

 

2. 까락(또는 '망')

   - 유망종, 무망종

   - 까락이 길면 수확 후 작업불편

   - 최근 육성품종 대부분 무망종

 

3. 초형

   - 수중형 : 이삭의 수는 적음, 대신 크고 무거움 => 산간지

   - 수수형 : 키와 이삭의 크기가 작음, 대신 이삭의 수가 많음 => 평야지

   - 윗잎이 짧고 직립 => 수광능률 높음

   - 윗잎이 길고 늘어짐 => 수광능률 낮음 

 

4. 조만성 : '출수기' 기준

   - 조생종 : 산간지, 조기재배

   - 만생종 : 평야지, 수량 많음

  ※ 맥류에서는 작부체계상 조숙종유리 

 

5. *저온 발아성

   - 의 경우 13℃에서 '발아세' 기준으로 평가

   - 크면조파, ② 조기육묘, ③ 직파재배유리

   - ① 찰벼 > 메벼 , 유망종 > 무망종, ③ 일본형(자포니카벼) > 통일형(인디카벼)

 

6. *묘대일수 감응도

   - 못자리 기간 연장으로 모의 노숙과 모낸 뒤 생육난조 발생 정도 

   - 낮을 수록 못자리에 오래 두어도 피해 적음

   - 천수답에서 만식(늦심기) : 낮은 품종 안전

 

7. 만식(늦심기) 적응성

   - 모내기가 늦어도 안전하게 생육, 성숙하여 안정적으로 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특성

   - 묘대일수 감응도 낮고, 도열병에 강하며, 만생종 => 만식 적응성이

 

8. 탈립성

   - 일반적으로 야생종은 강하고, 재배종은 약

   - 할 수록 수확 작업 불편

   - 단, 콤바인 수확의 경우 탈립성이 좋아야 손실이 적음

   - 인디카벼 > 자포니카벼

 

9. *수량

   - *우량품종의 가장 기본적 특성

   - 여러 가지 특성 들이 종합적으로 작용

 

10. 저장성

   - 고구마, 감자 : 높을수록 유리

 

11. 품질

   - 용도에 따라 요구조건이 달라지므로 그 내용 또한 복잡

   - 쌀 : 미질(밥맛)이 좋은 품종

   - 밀 : 용(경질 품종), 제과용(분상질 품종)

   - 콩 : 기름용(지유함량 높은 품종), 장류용(단백질함량 높은 품종)

 

12. 광지역 적응성

   - 1개 품종의 적응지역이 넓을수록 관리가 편함

   - 적응지역이 넓을수록 균일한 농산물대량생산 가능 => 상품화 유리

 


반응형

 

13. 내비성

   - *질소비료많이 주어도 안전한 생육을 할 수 있는 특성

   - 내병성내도복성이 강하고, 수광(태세)이 유리한 초형일 수록 강함

   - 대표적 작물 : 옥수수, 통일벼(단간종, 수중형)

 

14. 내도복성

   - 키가 작고 줄기가 단단하며 간기중이 무거울 수록 강함

   - 비료를 많이 주더라도 내도복성이 강하면 안전

   - 대표적 작물 : 통일벼

 

15. 내냉성

   - 에서 문제가 됨

   - 통일형

 

16. 내동성

   - 월동작물에서 강할 수록 월동에 안전하고 높은 수량 확보 가능 

   - 맥류 : 강해야 안전

 

17. 내습성

   - 과습한 토양에 견디는 특성

   - 맥류답리작 : 강해야 안전

 

18. 관수 저항성

   - '관수' : 물이 작물체의 선단부까지 차오르는 것(작물이 물에 잠기는 것)

   - 침수 우려 지대재배 : 강해야 안전

 

19. 내건성

   - 건조한 토양에 견디는 특성

   - 맥류 : 내동성이 강한 품종이 내건성이 강한 경향이 있음

 

20. 내염성

   - 염분 농도가 높은 토양에 견디는 특성

   - 간척지의 벼 재배 : 강해야 안전

 

21. 추락 저항성

   - 노후답에서 나타나는 추락현상의 정도가 덜한 특성

   - 황화수소 등 유해물질에 의한 뿌리해적음

   - 성숙이 빠른 품종(조생종)이 추락저항성이

 

22. 내병성

   - 병해에 강한 특성

   - 병해의 종류에 따라 내병성 품종이 달라짐 : 모든 병에 모두 강한 품종은 드묾

   - 줄무늬 잎마름병은 방제가 어려움 => 발생이 심한 남부지방에서 강한 품종 필요

   - 통일벼도열병줄무늬 잎마름병함 => 반면에, 흰빛 잎마름병에는 

 

23. 내충성

   - 충해에 강한 특성

   - 충해의 종류에 따라 내충성 품종도 달라짐

   - 통일벼 : 이화명나방

 

통일벼 품종재배적 특성

단간종, 수중형, 다수성

② *내비성 강함 => *내병성 *내도복성 강함, 수광(태세) 유리한(직립) 초형

 특히, 도열병, 줄무늬 잎마름병에 강함

탈립성 좋음 => 콤바인 수확 유리

저온 발아성 약함 => 내냉성 약함

흰빛 잎마름병, 이화명나방에 약함

미질(밥맛)이 떨어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