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 정리/2. 작물의 유전성

[재배학] 품종의 분류 / 품종명

by charlie-lyc 2021. 3. 21.
728x90
반응형

품종의 분류

1. 내력

   ① 재래품종 : 지방품종

      - 유래지, 발견자, 특유한 특성에 따라 구분

   ② 육성품종 : 개량품종

      - 육성방법에 따라 구분

         예) 분리, 교잡, 일대잡종

   ③ 도입품종 : 외래품종

      - 도입된 나라에 따라 구분

         예) 미국, 일본

 

2. 작부체계

  • : 조기 재배, 조식 재배,  만식적응성
  • 맥류 : 춘파, 추파
  • 감자 : 봄 재배, 가을 재배
  • 양배추 : 춘파, 하파, 추파

3. 이용성

  • 보리 : 일반, 맥주
  • 고구마 : 식용, 공업용(가공용), 사료용
  • 사료작물 : 방목, 청예, 건초, 사일리지

4. 특성

   ① 성숙기 : 조생, 중생 , 만생

   ② : 단간, 중간, 장간

   ③ 저항성 : 내병성, 내충성, 내습성, 내랭성, 내동성, 내비성, 내도복성, 내염성

 


품종명

1. 재래 품종명

   ① 유래지

      - : 울산, 함안

      - 겉보리 : *제천1호 => 육성품종 아님!

      - 쌀보리 : 홍성재래

      - 감자 : 춘천재래, 대화백

   ② 발견자

      - : 조동지, 찬서벼

   ③ 특유한 특성

      - 호박 : *서울다다기

      - 보리 : 중보리

 


반응형

 

2. 육성 품종명

   ① 육성기관

      [1] 수원 육성번호

         - 수원 농사시험장(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육성

         - 보리 : 수원 4, 6, 18, 31호

         - 고구마 : 수원 118, 147호

      [2] 남선, 이리 육성번호

         - 익산 농사시험장 남선지장(호남작물시험장) 육성

         - : 남선 102호, 이리 239호

      [3] 서선 육성번호

         - 황해도 사리원 농사시험장 서선지장 육성

         - : 서선 10호, 육성 3호

      [4] 목포 육성번호

         - 작물시험장 목포지장 육성

         - 목화 : 목포 3, 4, 5호

      [5] 농림 육성번호

         - 일본 농림성 산하 연구기관 육성

         - : 농림 6, 8, 25, 29호

         - 밭벼 : 농림나 1호

         - : 농림 4, 6, 10, 12호

         - 고구마 : 농림 1, 2호

      [6] IR 육성번호

         - 필리핀 IRRI(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국제쌀연구소) 육성

         - : IR-8

   ② 육성지

      - (수원 작물시험장 육성) 보리 : 칠보, 여기, 항미 <= 수원 명소

      - (밀양 영남작물시험장 육성) : 밀성 <= 밀양 육성

      - (익산 호남작물시험장 육성) : 만경 <= 만경 평야

      - (광주 전남농촌진흥원 육성) : 광두 <= 광주 콩

   ③ 계보

      - 고구마 : 천미 <= 천엽적(암) X 미국황피(수) 의 교잡

      - : 강도신력 <= 강도(암) X 신력(수) 의 교잡

   ④ 1대잡종 : 1대 잡종임을 상징

      - 오이 : 우리교배 절성

      - 수박 : 일대교배 태양

      - 옥수수 : 복교 1호, 복교 2호 

   ⑤ 우리나라 : 광(光)자를 주로 사용

      - 장광, 영광, 재광, 진광, 원광, 남광

 

3. 도입품종명 : 일반적으로 도입한 원명 그대로 사용

      - : 아끼바레(秋晴), 스즈가제(涼風), 사도미노리, 김마제

      - : 셸비(Shelby), 힐(Hill)

 

 

★ 장려품종 명명지침(1982)

   1. 기본 방침

      ① 4자 이내 표현

      ② 가급적 특성 표현

      ③ 도입품종일 경우 원명의 한자 발음 또는 원명의 뜻을 한글로 표기

      ④ 조, 중, 만생종 구분 표현

   2. 명명 방법(일반원칙, '벼'에 한해서)

      ① 조생종 : 해당 지방의 이름

      중생종 : 특성 표현하는 보통명사

      만생종 : 해당 지방의 강, 호수 이름

   3. 명명 예시

      ① 벼 : 품종명 + 벼 

         - 조생종 : 설악벼, 태백벼

         - 중생종 : 신선찰벼, 영풍벼

         - 만생종 : 한강찰벼, 탐진벼

         - 도입품종 : 추청벼(아끼바레, 秋晴)

      ② 맥류

         - 보리, 쌀보리 : 품종명 + 보리 => 팔달보리(피), 무안보리(과)

         - 밀 : 품종명 + 밀 => 새밀, 은파밀

      ③ 콩 : 품종명 + 콩 => 장엽콩, 남천콩

      ④ 옥수수 : 품종명 + 옥 => 횡성옥, 광옥

      ⑤ 감자 : 품종명 + 감자(저) => 도원감자(시마바라), 대지감자(데지마) 

      ⑥ 고구마 : 품종명 + 미 => 황미, 신미, 흥미, 은미 

      ⑦ 참깨 : 품종명 + 깨 => 풍년깨, 단백깨

      ⑧ 유채 : 품종명 + 유채 => 내한유채, 영산유채

      ⑨ 땅콩 : 품종명 + 땅콩 => 영호땅콩, 올땅콩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