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ython 7

[파이썬] TIL6 : 카렐 로봇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함수의 이해 및 활용

▣ 함수(Function) 앞서 For 반복문을 이용하여 len(), sum(), max(), min()의 핵심 기능을 구현하였듯이 필요한 기능을 사용자 스스로 정의해서 이용하는 것이 함수입니다. 모듈화와 마찬가지로 복잡한 연산과정을 간략화함으로써 고차원의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코딩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기본 구조 # Define Function def my_function(): # Do that # Then do it # Finally do this 예약 키워드인 'def', 사용할 '함수의 이름', 그리고 '():' 기호를 차례대로 작성하면 함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괄호 안에는 인자로 매개변수를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들여 쓰기에 주의하기 바랍니다. 2. 함수 호출..

[파이썬] TIL5 : For 반복문의 구조 / 리스트의 자료 구조와 내장 함수 레인지를 통한 반복문의 활용

▣ For 반복문(For Loop) 단순 반복 작업을 컴퓨터에게 맡기고 좀 더 생산적인 일에 집중하고자 만들어 낸 것이 소위 말하는 '프로그램'이라면, 반복문은 코딩의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For 반복문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리스트를 이용한 For 반복문 1. 기본 구조 For 반복문을 이용하여 리스트의 개별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때의 기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 For Loop for in : # Do something to each item 2. 예시 아래의 예시에서 과일 리스트의 모든 과일들을 차례대로 화면에 출력하고자 for문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fruits = ['Apple', 'Peach', 'Pear'] for fruit in fruits: ..

[파이썬] TIL4 : 리스트의 자료구조와 랜덤 모듈의 활용 / 중첩된 리스트와 2차원 자료 구조의 활용

▣ 리스트의 자료 구조 리스트(List)는 자료 구조(Data structure) 중 하나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일반적으로 배열(Array)이라고 부르는 형태와 일치합니다. 주된 특징은 공통적인 특성을 가진 데이터들의 집합이며, 리스트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순서에 의미가 있는 자료를 저장하는데 유용합니다. 1. 예시 예를 들어 미국을 구성하고 있는 주(State) 들 가운데 미합중국 연방에 가입한 순서대로 몇 개의 주를 나열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states_of_usa = ['Delaware', 'Pencilvania', 'New Jersey'] 2. 요소의 값 위의 예시에서 리스트를 구성하고 있는 개별 요소에 접근하기 위해서 각 요소가 가지고 있는 인덱스(Index) 값을 이용하여 아래와 ..

[파이썬] TIL3 : If 조건문의 구조 / 비교 및 논리 연산자를 이용한 조건식 작성과 흐름 제어

▣ 조건문 프로그램은 일종의 명령어(Instruction)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런 명령어들은 주어지는 조건에 따라 의사 결정을 다르게 하기 위해 흐름을 제어하는 표현문(Statement)이 필요합니다.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드 구문을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이라고 합니다. 파이썬의 조건문을 작성할 때는 코드 블럭의 명확한 구분을 위해 '들여 쓰기(Indentation)'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후에 익히게 될 반복문과 함수 작성 시에도 들여 쓰기는 중요합니다. ※ 파이썬에서 들여쓰기를 할 때는 탭키와 스페이스키를 혼용해서 사용하지 않고 한 가지만 일관되게 사용해야 하며, 스타일 가이드에서는 스페이스 4칸 사용을 권장합니다. 다만 스페이스 4칸을 일일이 타이핑하면 ..

[파이썬] TIL2 : 자료형의 종류와 확인 및 변환 / 산술 연산자 및 내장 함수 이용 숫자 처리 / 포맷 및 문자열 메서드 이용 문자열 처리

▣ 자료형(Data Types) 1. 문자열(String) 문자열은 여러 개의 문자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자료형이므로 각 문자(Character)는 위치를 표시하는 값(Index)을 가지고 있으며 인덱스 값은 0부터 시작됩니다. 변수에 문자열을 담고, 변수명을 이용해서 문자열에 접근할 수 있듯이 인덱스를 통해 각 문자에도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기호는 [ ]입니다. 문자 하나 또한 문자열의 일부이므로 + 기호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print('hello'[0]) a = 'hello' print(a[4]) print(a[0] + a[4]) 🖥 코드 및 실행 결과 2. 정수(Integer) 정수는 산술 연산이 가능한 숫자 자료형입니다. 자릿수 구분을 위해 _ 기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파이썬] TIL1 : 문자열의 화면 출력 / 사용자 입력 문자열과 변수 할당

▣ 문자열 출력 1. 화면에 문자열 출력하기 Hello world! 문자열(String)을 있는 그대로 화면에 출력하고자 할 때는 파이썬에 내장된 함수(Built-in function) print()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문자열은 작은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를 이용하여 나타냅니다. 위의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해 봅시다 🖥 코드 및 실행 결과 2. 문자열 안에서 따옴표 출력하기 # Write python code using 'print' function : print("Hello world!") 다양한 방법으로 문자열을 처리하여 표현할 수 있지만, 일단 여기서는 작은 따옴표를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 외부를 큰 따옴표로 감싸고, 큰 따옴표를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외부에 작은 따옴표를 사용합니다. 위의 문자열을 ..

[파이썬] 코딩 준비 / 온라인 코드 편집기 이용 / 로컬 환경 설치

▣ 시작하기 전에 문법은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최소 부분만을 설명하고 최대한 실습 중심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이해가 필요한 부분은 파이썬 공식문서나 구글링한 내용으로 갈음하겠습니다. 그리고 대체 불가한 경우를 제외하고 가급적 전문 용어를 지양하고 일반적인 어휘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The Python Standard Library — Python 3.9.4 documentation The Python Standard Library While The Python Language Reference describes the exact syntax and semantics of the Python language, this library reference manual describe..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