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나라 농업기계 보급
- 보급 농기계 수 : 2004년 기준(만 대)
1.경운기(83.3) - 2.*동력방제기(60) - 3.관리기(38.3) - 4.이앙기(33.4)
- 5. 트랙터(22) - 6.콤바인(8.8) - 7.*곡물건조기(6.4) - 8.바인더(6.2)
- 농기계의 급격한 보급이 이루어짐
- 대형 농기계로 대체되는 중
- 경운기 => 트랙터
- 바인더 => 콤바인
- 농기계 보급 현황 : (농가수 / 1대당)
1.경운기(2) - 2.이앙기(7.5) - 3.관리기(10) - 4. *수확기(12)
- 5. 트랙터(21) - 6.파종기(158) - 7.곡물건조기(가장 미흡) - 선별기
- 선진국 보급 현황에 미치지 못함
- 기계화의 저해 요인
- 경지 규모 영세
- 농기계 이용 효율이 낮음
- 구매력이 낮음
- 농기계 이용 이후의 서비스 체제가 미흡
우리나라 양곡 및 식량 자급률
- 2003년 기준
- 곡물 전체 자급률(사료 포함) : 27.8% => 2004년 26.8% => 2012년 24%이하
- 식용 곡물 자급률(사료 제외) : 53.5%
- 곡물 전체 수요량 중 식용 곡물 비율 : 51%
- 양곡연도 : 전년 11월 1일 ~ 당년 10월 31일
우리나라 작물 재배의 특징
- 호당 경지규모 1.48ha, 경지규모 1.0ha 이하 농가 62.9%
- 영세경영의 다비농업
- 집약적 농업에서 생력농업으로 전환기
- 전업농가가 대부분
- 기상재해가 큼
- 주곡 위주의 농업
- 외곡 도입량 많음
- 농경지 비율(18.4%)이 세계 평균(11.49%)보다 높음
- 초지 비율(0.6%)이 세계 평균(26.9%)보다 낮음
- 지력이 낮음
- 토지 이용율 낮음
- 축산 비중 낮음
- 농업기계화 정도 낮음
- 농산물의 국제경쟁력이 약함
- 곡물 자급률이 낮음(자급률 낮은 순서) : 1.밀 - 2.옥수수 -3.콩
(%) | 쌀 | 콩 | 옥수수 | 밀 |
자급률 | 100 | 7.1 | 0.8 | 0.4 |
반응형
우리나라 농업의 과제
- 생산성 향상
- 품질의 고급화
- 종류 및 작형의 다양화
- 저장성의 향상
- 유통구조의 개선
- 국제경쟁력 강화
- 농산물 수출 강화
- 저투입, 지속적 친환경농업의 실천
우리나라 친환경 농업
- 친환경 농업
- 농업과 환경을 조화시켜 농업생산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농업
- 기본 패러다임
- 장기적인 이익의 추구
- 개발과 환경의 조화
- 순환적 종합농업체계 : 단일작목 중심이 아님
- 농업생산의 경제성 확보하고, 환경보존과 농산물 안전성 추구
- 농업 생태계의 물질순환시스템과 작부체계를 활용한 고도의 농업기술
- 친환경 농산물의 종류
(허용기준) | 유기 | 전환기유기 | 무농약 | 저농약 |
유기합성농약 | X | X | X | 안전사용기준 1/2 이하 |
화학비료 | X | X | 권장시비량 1/3 이하 | 권장시비량 1/2 이하 |
제초제 | X | X | X | X |
유지기간 | 3년 이상 | 1년 이상 | - | - |
※ 저농약 농산물에서 유기합성농약 허용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 살포 횟수 : 1/2 이하
- 수확전 최종살포 시기 : 2배 이상
예) 최종살포 허용시기가 수확전 15일이라면, 수확전 30일 이전에 살포해야 기준에 부합
728x90
반응형
'재배학 정리 > 1. 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배학] 우리나라 재배 현황(1/2) (0) | 2021.03.17 |
---|---|
[재배학] 3대 식량작물 / 주요작물 생산현황 / 농업인구 비율 (0) | 2021.03.14 |
[재배학] 작물의 분류 (2) | 2021.03.11 |
[재배학] 작물의 종류 / 작물의 구분 / 주요작물의 이명법 표기 (0) | 2021.03.11 |
[재배학] 농서 저술 / 작물의 발달 방향 (0) | 2021.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