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62

[파이썬] TIL2 : 자료형의 종류와 확인 및 변환 / 산술 연산자 및 내장 함수 이용 숫자 처리 / 포맷 및 문자열 메서드 이용 문자열 처리 ▣ 자료형(Data Types) 1. 문자열(String) 문자열은 여러 개의 문자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자료형이므로 각 문자(Character)는 위치를 표시하는 값(Index)을 가지고 있으며 인덱스 값은 0부터 시작됩니다. 변수에 문자열을 담고, 변수명을 이용해서 문자열에 접근할 수 있듯이 인덱스를 통해 각 문자에도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기호는 [ ]입니다. 문자 하나 또한 문자열의 일부이므로 + 기호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print('hello'[0]) a = 'hello' print(a[4]) print(a[0] + a[4]) 🖥 코드 및 실행 결과 2. 정수(Integer) 정수는 산술 연산이 가능한 숫자 자료형입니다. 자릿수 구분을 위해 _ 기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2021. 3. 31.
[파이썬] TIL1 : 문자열의 화면 출력 / 사용자 입력 문자열과 변수 할당 ▣ 문자열 출력 1. 화면에 문자열 출력하기 Hello world! 문자열(String)을 있는 그대로 화면에 출력하고자 할 때는 파이썬에 내장된 함수(Built-in function) print()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문자열은 작은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를 이용하여 나타냅니다. 위의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해 봅시다 🖥 코드 및 실행 결과 2. 문자열 안에서 따옴표 출력하기 # Write python code using 'print' function : print("Hello world!") 다양한 방법으로 문자열을 처리하여 표현할 수 있지만, 일단 여기서는 작은 따옴표를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 외부를 큰 따옴표로 감싸고, 큰 따옴표를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외부에 작은 따옴표를 사용합니다. 위의 문자열을 .. 2021. 3. 28.
[파이썬] 코딩 준비 / 온라인 코드 편집기 이용 / 로컬 환경 설치 ▣ 시작하기 전에 문법은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최소 부분만을 설명하고 최대한 실습 중심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이해가 필요한 부분은 파이썬 공식문서나 구글링한 내용으로 갈음하겠습니다. 그리고 대체 불가한 경우를 제외하고 가급적 전문 용어를 지양하고 일반적인 어휘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The Python Standard Library — Python 3.9.4 documentation The Python Standard Library While The Python Language Reference describes the exact syntax and semantics of the Python language, this library reference manual describe.. 2021. 3. 28.
[재배학] 수분 및 수정과 결실 수분 및 수정과 결실 1. 수분(Pollination) - 성숙한 화분이 수술의 약에 터져 나와 바람이나 곤충 등에 의해 암술의 주두에 부착 - 자가수분(Self pollination; Autogamy) : 같은 개체에 있는 꽃들의 암술과 수술 사이에 일어나는 수분 - 타가수분(Cross pollination; Allogamy) : 서로 다른 개체들 사이의 수분 = 교잡수분 2. 수분 양식 ① 완전화 또는 양성화 : 대부분 자가 수분 예) 벼, 보리, 밀 ② 단성화를 갖는 자웅동주 : *자가, 타가 수분 둘 다 예) *옥수수, 수수, 참외 ③ 자웅이주 : 타가 수분만 예) 시금치, 삼, 호프, 아스파라거스 ④ 양성화로서 자웅동숙 : 대부분 자가 수분 예) 벼, 보리, 밀 ⑤ 웅예선숙 또는 자예선숙 : 타.. 2021. 3. 27.
[재배학] 배우자 형성 배우자 형성 1. 기본 개념 - 배우자 형성 : 생식 모세포가 감수분열을 통해 배우자(Daughter cell, 딸세포)가 되는 과정 2. 배우자 형성(Gametogenesis) 과정 - 피자식물(꽃을 생식기관으로 가지고 밑씨가 자방 속에 있는 식물군)에서 => 암수 배우자, 즉 *꽃가루(화분)와 *배낭이 형성 ※ 피자식물(속씨식물; 현화식물) ↔ 나자식물(겉씨식물; 은화식물) [1] 꽃가루(화분, 소포자) 형성 : 꽃의 수술 부분 중에서 꽃밥(Anther; 葯, 약) 안에서 형성 - 화분모세포(Pollen mother cell) : 감수분열(①감수분열, ②동형분열) => 화분 4분자(소포자)가 됨 => 이것이 성숙하여 수배우체인 화분[립](Pollen grain : 2중막, 여러 개의 발아공을 가짐)이.. 2021. 3. 24.
[재배학] 체세포 분열과 생식세포 분열 체세포 분열과 생식세포 분열 1. 기본 개념 - 체세포(유사) 분열 : 유성생식 작물은 체세포 분열을 통해 개체로 성장 - 감수(생식세포) 분열 : 유성생식 작물은 생식세포 분열을 통해 배우자를 만들어 생식 2. 체세포 분열(Mitosis) 과정 : G1 - S - G2 - M(전 - 중 - 후 - 말) - 1개의 체세포 => 2개의 딸세포가 됨 - 일정한 세포주기(Cell cycle)를 가지고 반복됨 [1] (합성)전기 : G1(Gap1 or Growth1) phase - *딸세포가 '성장' [2] (DNA)*합성기 : S(Synthesis) phase - *DNA 합성으로 *염색체(Chromosome) 복제 - *자매 염색분체(Sister chromatid) 생성 [3] (합성)후기 : G2(Gap2.. 2021. 3. 24.
[재배학] 생식 방법 생식 방법 1. 기본 개념 - 생식(Reproduction) : 생물이 다음 세대를 계승할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것 - 번식(Propagation) : 생식을 통해 자기 자손을 남기고 증가시키는 것 2. 생식 방법 분류 [1] 유성생식 : 암수 양성의 생식세포, 즉 배우자(Gamete, n)를 형성하여 수정을 통해 생식 - '자가' 수정 : 수정에 관여하는 난세포와 정세포가 같은 개체에서 만들어 짐 - '타가' 수정 : 수정에 관여하는 난세포와 정세포가 다른 개체에서 만들어 짐 (1) **정형 유성생식(Amphimixis; 앰피믹시스) - "오직 이것만 유성생식"으로 보는 견해도 있음 - 감수분열 : 체세포의 (두)배수체(Diploid, 2n) 상태에서 배우자의 반수체(Haploid, n)가 됨 - 수정.. 2021. 3. 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