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62

[재배학] 형질 / 변이 형질 1. 기본 개념 - 생물의 특성이 되는 형태적, 생태적, 생리적 우수한 특징 - 육종 : 형질을 개량하여 신품종을 육성하는 것 ※ 형질은 유전자에 의해 지배되고, 유전자는 염색체상에 있으며, 그 근원물질은 DNA - 결국, 육종은 유전자와 염색체 및 DNA를 조작하고, - 목표 형질에 대한 유전변이를 작성하여, - 희망 유전자형을 선발하는 기술 2. **질적 형질 - (계량, 계측 없이) 확실히 구별할 수 있는 형질 : 예) 색깔 - 분리 세대에서 불연속 변이하는 형질 - 형질의 특성이 몇 가지 종류로 뚜렷하게 구별 - 비교적 표현력이 큰 소수의 주동유전자에 의해 지배됨 - '멘델식 유전' => 형질 개량 : '계통육종법' 유리 3. **양적 형질 - 계량, 계측할 수 있는 형질 : 예) 초장, 간.. 2021. 3. 23.
[재배학] 품종 개량 효과 / 신품종 보호 / 형질과 특성 / 품종 식별 품종 개량 효과 ① 새 품종 출현 ② 경제적 효과 ③ 재배 한계 확대 ④ 품질 개선 효과 ⑤ 재배 안전성 증대 신품종 보호 1. 신품종 등록과 보호 '신규성' 정의 - 품종보호출원일 이전에 - 우리나라와 국제식물신품종보호조약 체결국에서 1년 이상 - 그 밖의 국가에서 4년 (과수, 임목 6년) 이상 상업적으로 이용 또는 양도되지 않은 품종 ① 구별성(Distinctness) : 한가지 이상의 특성이 기존에 알려진 품종과 뚜렷이 구별 ② 균일성(Uniformity) : 특성이 재배, 이용상 지장이 없도록 균일 ③ 안정성(Stability) : 세대를 반복, 재배하여도 특성이 변하지 않음 신품종에 대해 품종보호권 설정, 등록 => 육성자의 권리 20년 보장 (과수, 임.. 2021. 3. 22.
[재배학] 품종 육성 역사 품종 육성 역사 1. 초기 자연 돌연변이나 자연 교잡으로 생긴 변이 개체 중에서 우량한 것을 선발 => ① 분리 육종 2. 1865년 Mendel 유전법칙 발견 : 유전학의 기초 확립 => 육종기술과 육종학 발전의 토대 3. 1900년 Mendel 유전법칙 재발견, 유전학과 세포유전학의 급속 진전 => ② 교잡 육종 3. 1903년 Johanssen 유전적 요인에 의한 변이만이 선발의 대상이 됨 => 순계설 4. 1937년 콜히친(Colchicine) 발견 : 염색체 수를 배가 => ③ 배수성 육종 5. 1970년대 조직배양, 세포융합, 유전자조작 => ④ 생명공학 육종 6. 1972년 Muller x-선으로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 ⑤ 돌연변이 육종 우리나라 작물의 육종 1. 농촌진흥청 벼, 보리, .. 2021. 3. 22.
[재배학] 국제농업기관 / 야생벼와 재배벼 / 우리나라 재배벼 국제농업기관 1. IRRI -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 국제쌀연구소 : 필리핀 2. FAO -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 식량농업기구 : 이탈리아, UN산하기구 3. CIMMYT - Centro Internacional de Mejoramiento de Maiz y Trigo - International Center for Maize and Wheat Improvement - 국제옥수수밀개량센터 - 멕시코 4. CIAT - Centro Internacional de Agircultura Tropical - International Center for Tropical Agriculture - 국제열대농업센터 - 콜롬비아 야.. 2021. 3. 22.
[재배학] 품종의 분류 / 품종명 품종의 분류 1. 내력 ① 재래품종 : 지방품종 - 유래지, 발견자, 특유한 특성에 따라 구분 ② 육성품종 : 개량품종 - 육성방법에 따라 구분 예) 분리, 교잡, 일대잡종 등 ③ 도입품종 : 외래품종 - 도입된 나라에 따라 구분 예) 미국, 일본 등 2. 작부체계 벼 : 조기 재배, 조식 재배, 만식적응성 맥류 : 춘파, 추파 감자 : 봄 재배, 가을 재배 양배추 : 춘파, 하파, 추파 3. 이용성 보리 : 일반, 맥주 고구마 : 식용, 공업용(가공용), 사료용 사료작물 : 방목, 청예, 건초, 사일리지 4. 특성 ① 성숙기 : 조생, 중생 , 만생 ② 키 : 단간, 중간, 장간 ③ 저항성 : 내병성, 내충성, 내습성, 내랭성, 내동성, 내비성, 내도복성, 내염성 품종명 1. 재래 품종명 ① 유래지 -.. 2021. 3. 21.
[재배학] 품종의 특성 품종의 재배적 특성 품종의 특성 : 품종에 속하는 개체들이 지닌 모든 형태적, 생리적, 생태적 형질 품종의 재배적 특성 : 품종의 특성 중에서 특히, 재배 이용상의 가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특성 1. 키(또는 '간장') - 장간종, 단간종 - 장간종은 도복되기 쉬움 2. 까락(또는 '망') - 유망종, 무망종 - 까락이 길면 수확 후 작업이 불편 - 최근 육성품종 대부분 무망종 3. 초형 - 수중형 : 이삭의 수는 적음, 대신 크고 무거움 => 산간지 - 수수형 : 키와 이삭의 크기가 작음, 대신 이삭의 수가 많음 => 평야지 - 윗잎이 짧고 직립 => 수광능률 높음 - 윗잎이 길고 늘어짐 => 수광능률 낮음 4. 조만성 : '출수기' 기준 - 조생종 : 산간지, 조기재배 - 만생종 : 평야지, 수량 .. 2021. 3. 20.
[재배학] 우량 품종 / 우량 종자 우량 품종의 조건 ① 균일성 - 모든 개체들의 특성 및 유전질 균일 ② 우수성 - 재배적 특성이 종합적으로 다른 품종보다 우수 - 한 가지라도 결정적으로 불리한 것이 있으면 안됨 ③ 영속성 - 균일성과 우수성이 변하지 않고 계속 유지 - 영속성을 위해 종자번식작물의 경우 유전질이 고정 - 유전적, 생리적, 병리적 퇴화 방지 ④ 광지역성 - 균일성과 우수성의 발현 및 적응도가 가급적 넓은 지역에 나타남 - 재배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환경 적응성 우량 종자의 조건 1. 우량 품종(① ~ ④)에 속함 2. 유전적으로 순수 : 이형종자가 섞이지 않음 3. 충실하게 발달 : 생리적 활성 우수 4. 병해충 감염 안됨 5. 발아력 건전, 발아세 강함 6. 잡초 종자나 이물이 섞이지 않음 2021. 3. 20.
728x90
반응형